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대
- 우유니
- 전아리
- 파나소닉 25.7
- The Roots
- 알로하서프
- 리디북스 페이퍼
- G20 시위
- ipod touch 4th
- 버블경제
- 계속해보겠습니다
- 아파트
- 김연수
- 나의 한국 현대사
- 끼또
- Toronto
- 아직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뿐
- 토론토
- 박해천
- 에콰도르
- too big to fail
- 콘크리트 유토피아
- 터치 4세대
- g20
- 왜 주식인가
-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 워킹홀리데이
- 남미여행
- 아수라장의 모더니티
- 금진해변
- Today
- Total
목록공부할 것/갱제 (12)
영원한 화자
summary 만 복사해놓음.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is much more than another preferential trade agreement project: it aims to link the world’s two biggest economic entities. The initiative seems motivated by the stalemate in multilateral negotiations, the competition between trade agreements, and the willingness of the two partners to retain their leading positions in wor..
라는 거창한 제목을 써봤지만, 몇 달 전 자주가던 사이트에 올렸던 글을 다시 올려놓음. 사실 유입경로나 키워드를 봐도 일본 버블경제로 낚여서 들어오는 사람들이 많던데 큰 그림을 그리기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서 업로드. 고칠게 좀 있어보이지만, 일단은 시간이 없어 놔두기로. 개인적으로 올해 금융권, 공기업 논술에서 아베노믹스는 100% 나올 거라 예상하기 때문 1960~현재까지의 일본 경제를 거시적 관점에서 정리해놓으면 좋을듯. 일단은 참의원 선거가 자민당 압승으로 끝나 아베노믹스에 대한 추동력이 더 생겼지만, 9월~10월쯤 미국의 출구전략이 가시화된다면 상황은 또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고 생각함. 뿐만 아니라 소비세 인상과 실질임금의 답보 상태, 에너지 수입으로 인한 지속적인 무역적자도 변수. 소비세(또는..
or Beggar-thy-Neighbor Beggar-thy-neighbor is a type of strategy that is designed to enhance the financial stability and prosperity of one nation at the expense of other nations that currently do business with that country. Essentially, this trading strategy will make use of the devaluation of currency as well as changes in import and export policies and other economic measures to move the inter..
1. 오늘자 FT에 따르면, 중국 지방 정부의 부채문제가 매우 심각하다고 한다. 마틴 울프 등도 지속적으로 중국 지방정부 부채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있는 것도 눈여겨 볼만하다. 중국 회계법인 Shine Wing 관계자에 따르면 이미 지방정부의 부채는 통제를 넘어섰다(out of control)고 한다. 문제가 폭발하면 그 규모는 2008년 미국 부동산 시장의 붕괴 규모를 넘어설 것이라고.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규모가 급증한 것은 2008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대출 기준을 완화하며 발생했다. 총 대출 규모는 1.6조 달러~3.2조 달러로 중국 GDP의 20~40%를 차지할 것으로 추측된다. 국제신평사가 중국의 신용등급을 낮추더니, IMF는 어제 중국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8.2%에서 ..
바오빠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전통적인 굴뚝산업으로는 부족. 서비스 산업(의료, 금융, 교육 등)에서의 확대 및 발전이 필요. What could this be? The answer is the service sector. China has a peculiar industry structure. The proportion of the country’s potential economic capacity that is in use has declined from about 80 per cent before 2008 to about 60 per cent in 2012,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Despite this, the service sector la..
요즘은 갱제학 공부하는 맛에 산다.그러나 미시와 그래프는 토나온다. 헝가리 출신의 미국인 사업가 조지 소로스(George Soros)가 퀀텀펀드(Quantum Fund)를 설정한 때는 1969년이었다. 1992년에 그는 이미 억만장자가 되어 있었다. 세계 최고의 투자자라는 명성과 함께 활발한 자선사업으로 명망도 높았지만, 금융적 야망과 함께 지적인 욕망을 가진 인물이자 세상이 자신의 사업적 수완만큼 철학적 견해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주기를 바랐던 그는 더 많은 것을 원했다. 소로스 자신도 말했듯이 그는 돈만 버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명성도 쫓을 수 있는 비즈니스 기회를 찾아 나섰다. 사업과 무관한 프로젝트들을 추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대중적 명성을 원한 것이다. 그해 여름, 드디어 그는 영국에서 기회..
이런 덕질이라면 쌍수를 들고 환영한다.내가 공기업 입사를 준비하는 건지 행시를 준비하는 건지 모르겠다... DCinside 경제갤러리에서 추천하는 경제학 교과서 및 경제학 책 목록. version 3.0 I. 경제학 필수(원론, 미시, 거시, 연습문제집) Edited by Erudite 목차----------------1. 경제학원론 2. 미시경제학...1) 중급 미시경제학(학부수준)...2) 고급 미시경제학(학부 고급 및 대학원) 3. 거시경제학...1) 중급 거시경제학(학부수준)...2) 고급 거시경제학(학부 고급 및 대학원) 4. 경제학연습---------------- 1. 경제학원론 경제학 원론은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주로 대학1학년, 고등학생, 혹은 타학과 교양강좌)이 보는 책입니다.실용..
부각 배경: 현재와 같은 초저 금리 상황에서 통화신용정책 수단이 소진되어, 현재와 같은 글로벌 경기 침체기에서 전통적 통화정책경로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신용경로 등을 통한 새로운 중앙은행의 정책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됨. 단순히 물가안정을 시키고 위기 시 유동성 공급하는 역할이 확대된 것으로 해석 가능하고, 미 연준과 유럽 ECB 사례 중심으로. 1. 양적 완화내용: 직접 국채를 매입하여 시장에 유동성 공급. ECB의 경우 SMP와 OMT(규모 무제한, 구제기금과 합작, 엄격한 조건, 불태화정책, 대상은 단기 국채, 선순위 비적용 pari passu) 프로그램으로 무제한 국채 매입의 의사를 밝힌 바 있음. 미국의 경우 QE3가 이미 시행된 바 있음. 일본은행의 경우, 올해 양적완화 규모를 101조 엔으로..
"케인즈주의의 한계, 기업·금융의 사회적 소유로 보완해야."장상환 경상대 경제학부 교수는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 교수 가운데 하나다. 민주노동당 정책위원장을 맡아 주요 정책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고 최근까지 민주노동당 부설 진보정치연구소 소장을 맡아왔다. 그는 거대한 변화가 이미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정부가 아무리 강부자 계급의 이해를 대변하더라도 노동자 대중의 불만을 언제까지나 마냥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 이번 위기를 넘기더라도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을 거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오히려 10년 전 외환위기처럼 노동자 대중에게 희생을 전가하고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지 않을까.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제 위기의 원인은 첫째, 자본의..
오늘은 킹스턴 체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물론 전 긁어올 뿐. A : 책에서 킹스턴체제 이전에는 각국 환율이 금이나 달러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킹스턴 체제 이후 각국이 환율 제도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게 됐다는 문구를 보았습니다. 킹스턴체제 이전에는 환율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해진 것이죠? 그리고 킹스턴 체제에서의 환율 결정 방식은 브레튼우즈체제와 어떻게 다른가요? Q : 킹스턴체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금본위제도와 브레튼우즈체제에 대해 알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금본위제도 (gold standard system)란 금 일정량을 화폐단위로 정하는 제도로,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세계 주요국들에서 채택됐습니다. 금본위제도하에서 각국 화폐의 교환비율은 금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