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일본의 대졸자 취업구조는 우리와 많이 달라서, 취업난의 개념도 좀 다르다. 일본은 대학4학년이 되면 리크루팅이 시작되어, 졸업 전에 입사가 확정되는 시스템. 군대를 안 가니까 4년 바짝 하고 졸업하는 구조 그리고 일단 입사하면 이직이나 경력자 전직 등의 형태로 회사를 옮기는 것이 쉽지않다. 간단히 말해 졸업식 전까지 결정된 회사가 이후 인생행로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졸업식까지 취직이 결정되지 않았다면 이런 경우 정상적인 취업은 사실상 불가능.
한국처럼 졸업하고도 계속 도서관 다니며 취업준비하는 경우는 없다, 기보다 불가능하다. 아주작은 중소기업도 졸업 =신입사원이라는 공식이 박혀있다. 따라서 졸업예정인 4학년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상당하다. 단 몇개월에 불과한 리쿠르트 시즌에 전인생이 걸린거나 마찬가지. 여기서 밀리거나 탈락하면 패자부활의 기회따위는 없다.
그러다보니 누구나 채용오퍼를 서너개씩 받아서 느긋하게 골라가며 졸업준비하던 거품경제 시기와 비교해서 힘들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지, 객관적인 수치로는 일본의 고용시장은 다른 OECD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안정적이다. 특히 청년실업율은 일부. 유럽국가들의 상황에 비추어보면 환상적으로 낮은 수준.
실제로 2011년 기준 일본의 대학 졸업예정자의 취업확정율은 90%를 넘고, 잃어버린 20년 기간 중에도 90% 선이 깨진 것은 미국 금융위기가 폭발한 직후인 2009년 정도였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은 대표적인 Bubble Economy로 불린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어떻게 발단이 되어 진행되었는지, 그 결과로 어떠한 경제, 사회적 파장이 있었는지를 살펴 보려고 한다.
일본의호황과미국의견제
일본 Bubble의 시작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3년과 1979년, 두 차례에 걸친 Oil Shock로 인해 1 배럴 당 50 센트에 불과했던 원유가 40 달러까지 치솟았다. 석유 가격의 상승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물가 상승 속 경기 침체인 Stagflation[1]이 발생했다.
이 때 나온 것이 Reaganomics이다. 물가를 내리기 위해 Reagan 정부는 17%에 이르는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이를 통해 미국 정부는 10%에 달하던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고금리로 인해 미국 기업들은 설비 투자가 어려워 결국 미국의 제조업은 붕괴되었고, 실업률은 10.8%에 이르게 되었다.
이 틈을 타 일본 제품이 미국 시장을 휩쓸게 되었다. 연 평균 수출은 18.2% 증가했고, 미국 전체 수입의 20%를 훌쩍 넘기게 되었다. 수출 호조 덕분에 일본은 2차 Oil shock의 불황을 타계하고 호황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대미 수출의 선전으로 일본 수출 기업들은 엄청난 잉여 자금을 유보하게 되었다. 은행들은 자금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기울였고, 마침 국제 금융계는 일본 은행들에게 국제 규범에 맞도록 BIS를 8% 이상으로 맞출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장성은 시중 은행들의 자기 자본 확대를 위해 투신사는 물론 기업들에게도 투금 계정[2]을 허용하는 조치를 내렸다. 기업들은 투금 계정을 이용해 부동산 구매에 열을 올렸다. 당시 일본 은행들은 기업 대출 시에 부동산 담보 대출을 관행으로 여겼는데, 이것이 기업들의 부동산 구매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기업들의 부동산 구매로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게 되었고, 상승된 가격을 담보로 은행은 더 많은 돈을 기업에 대출했다. 다시 기업은 대출금으로 부동산을 구매하는 악순환이 계속되었고, 이것이 일본 Bubble의 실질적인 시작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0년대 초반 일본은 무역 흑자가 급증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과 무역 마찰을 겪게 되었다. 이에 미국, 영국 등은 만성적인 대일 적자를 해소하고 일본의 수출을 줄이기 위해 1985년 9월, 플라자 합의 (Plaza Accord)[3]를 통해 “엔高, 氐달러” 정책을 결정하였다.
이로 인해 1달러에 250엔이던 환율이 120엔 수준까지 낮아지게 되었고, 엔화 강세에 따라 수출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은 급격히 떨어졌다. 1986년 일본의 경제 성장률은 -0.5%를 기록하는 등 수출 주도형의 일본 경제는 흔들리게 되었다.
일본의대응과부동산버블의형성
수출 부진으로 인한 불황을 염려한 일본 정부는 긴급히 저금리에 의한 경기 부양과 내수 확대 정책을 실시하였다. 당시 5% 대였던 공정 금리[4]를 1986년 1월부터 1987년 2월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2.5%까지 인하했다. 저금리 정책은 3년 이상 지속되었다.
금리 인하와 함께 경기 부양을 위해 시중에 푼 돈으로 인해 통화 증가율이 1985년 3.8%에서 1988년에는 13%로 확대되어 부동 자금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더불어 연간 1~2%에 머물던 부동산 대출 증가율이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저금리 기조로 인해 대출 금리도 낮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택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주택 수요를 급증시켜 집값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했다. 또한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해 국토개발계획을 발표했으며, 토지 가격을 급등시켰다. 토지 가격이 급등하자 기업들은 토지를 담보로 거액을 융자 받아 또 다시 땅을 사는 악순환을 지속했다. 엔화 강세를 기반으로 미국의 부동산을 사들이기도 했다.
일본의 주택 보급률은 이미 1968년에 100퍼센트를 넘어섰다. 그러나 투기는 계속되었고, 1987년 8월 강화한 지가감시구역제도와, 1987년 10월 법인이 토지를 취득해 2년 이내에 양도할 경우 시세 차익의 96퍼센트를 환수하는 중과세 제도도 실효가 없었다. 1988년 한 해에만 동경의 공시지가는 65.3% 폭등했다.
“토지 불패의 신화”에 힘입어 부동 자금은 끊임 없이 부동산으로 유입되었다.[5] 부동산 담보 대출은 계속 증가해, 22조 엔이었던 부동산 담보 대출은 1989년에 80조 엔으로 치솟았다. 시중 은행들의 대출도 심화되어 부동산을 담보로 평가액의 120%까지 대출을 해 줄 정도였다. 과도한 부동산 투자는 엄청난 집값 상승을 불러왔고, 1980년대 말에는 일본 국토를 팔면 미국 국토를 3~4번은 살 수 있을 정도로 부동산 가격이 급증했다. 이 때 일부 학자들이 버블을 주장했지만, 부동산 불패를 외치는 학자들과 도서들에 밀려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환율 쇼크로 일본 제조업체들은 해외 이전을 본격화했다.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임금이 낮은 국가들로 해외 이전을 했으며, 그 이유는 임금보다는 환 Hedge였다. 대기업들은 수출용 제품은 해외 공장에서, 내수용 제품은 일본 내에서 생산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제조업의 해외 이전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의 구조적 하락이 발생하게 되었다. 지방 경제의 원동력이 되었던 제조 업체들이 해외로 이전하면서 지역의 경제는 침체되었고, 땅값도 동반 하락하게 되었다.
Bubble 붕괴
일본 정부의 저금리 정책은 시중의 돈을 부동산으로 몰리게 한 이유 중 하나였다. 그 동안 일본 정부는 투기 억제에만 힘을 쏟았을 뿐, 금융 정책에는 손도 쓰지 않았다. 버블의 원인이 저금리 정책이라는 점을 뒤늦게 깨닫고 금융 정책에 손을 쓰기 시작했다. 1989년 5월부터 1990년 8월까지 일본 정부는 금리를 2.5%에서 6%까지 급격히 인상했다.
Bubble 붕괴의단초는금리의급격한상승이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1989년부터의 금리 인상은 일본 Bubble의 붕괴를 가져왔다.
1990년 4월에는 부동산 대출을 규제하는 “부동산 대출 총량 규제”라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정책으로 은행들은 대출을 거부하고 대출 자금 상환을 요구했고, 시중 자금이 바닥나면서 주가는 하락을 면치 못했다. 또한 투기성 매물이 쏟아져 나왔고 지가도 하락하기 시작했다. 1991년부터 도산하는 부동산 업체와 건설 업체가 속출하면서 장기 불황은 시작되었다.
1960년에서 1990년 사이 종합 주가 지수는 50배 이상이 올랐다. 엄청난 부동산 상승으로 사람들의 지출은 도를 넘게 되었다. 실물 경기는 좋지 않지만 주가는 급등하고 지출은 느는 전형적인 유동성 장세가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부터 1989년까지 계속된다. 이 기간 동안 Nikkei 지수는 13,000에서 38,000 포인트로 상승했다. 그런데 1990년대 초 Nikkei 지수가 6개월 사이에 39,000 포인트에서 25,000 포인트로 급락하게 되었다.
1960년에서 1990년 사이 도쿄의 부동산은 200배가 상승했다. 그러다 이후 15년 동안 87.2%가 폭락했다. 1990년부터 1993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534조 엔에 이르는 토지 자산액이 감소했다. 이 중 가계가 140조엔, 법인이 180조 엔의 자산을 날린 것이다. 지가의 하락은 도쿄를 중심으로 한 대도시에서 시작되어 지방으로 점차 확산되었다. 1992년부터 최근까지 한 번도 상승 없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Bubble 붕괴이후의정책
고금리는 초저금리로 반전되었다. 최고 6퍼센트까지 상승했던 금리는 91년 7월 이후 인하로 돌아서고 금융 완화책은 지속되었다. 1991년 7월에 5.5%로, 11월과 12월 인하를 통해 4.5%로 금리를 인하했다.
디플레이션이 가시화되자 2001년 이후 일본 은행들은 양적 완화 정책을 시작했다.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안정적인 수준에 이를 때까지 장기 국채 매입을 확대하는 것이다. 현금과 예금 비율이 급격히 상승하며 대출이 위축되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에 통화량 증가를 도모한 것이다.
이 같은 저금리 정책은 부작용도 보이고 있다. 가계 이자소득 감소와 개인 소비 침체, 기업 구조조정의 지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대장성은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해 주식 시장 개입을 통한 부양책을 썼다. 1990년 2월에는 마진론 대출폭을 확대해 담보 주식 대출 비율을 30%에서 50%로 확대했다. 4대 증권사에 유상증자, BW 발행을 금지했지만 주가는 3만 포인트로 하락했다. 주가가 2만 포인트 선까지 하락하자 증권사에 주식 매입 명령을 내리고 보험회사들의 주식 매도 금지 명령을 내렸다. 또한 연기금 및 우체국 예금까지 이용해 주식 매수를 했다. 이러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1992년 8월 Nikkei 지수는 14,309 포인트까지 하락했다.
대장성의 금리 인하와 주식 시장 개입으로 인해 금융 기관들의 유동성은 크게 악화되었다. 그럼에도 주식과 부동산 가치가 하락했고, 매도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라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금융 기관들은 부실 채권의 폭탄을 맞게 되면서 은행들이 부실로 도산했다. 시중 은행들에 12조 엔의 공적 자금이 투입되지만, 연쇄 도산을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
앞선 2년 간의 증시 부양이 수포로 돌아가자, 일본 정부는 1992년 8월부터 강력한 경기 부양책을 사용했다. 그 규모는 다음과 같다.
- 1992년 8월: 10.7조 엔 투입, 3.25%로 금리 인하
- 1993년 4월: 13.2조 엔, 2.5%로 금리 인하
- 1993년 9월: 8조 엔, 1.75%로 금리 인하
- 1994년 2월: 15.3조 엔
경기 부양책도 실패로 끝나자 일본 정부는 제로 금리 정책을 선택했다. 1995년 9월 금리는 사상 최저인 0.5%로 인하되었다.
엔고로 인해 위기에 빠졌던 일본 수출 업체를 구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 1995년까지 170회가 넘게 외환 시장에 개입했다. 그러나 엔고를 저지하지 못했다. 다행히도 일본의 장기 침체가 세계 경제에 위협이 될 것을 우려한 미국 정부의 도움으로 엔고 문제는 일단락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일본 경제는 여전히 수렁을 빠져 나오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
110 ~ 120엔 선을 유지하던 환율이 1998년 6월에 140엔을 돌파하자 일본 경제는 위기감에 휩싸이게 되는데, 이는 제로에 가까운 금리와 경기 부양으로 시중에 엄청나게 풀린 자금, 거기에 엔화 하락으로 하이퍼인플레이션의 가능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다행히 미국의 개입으로 150엔을 마지노선으로 환율은 방어되었고, 9월에는 130엔 대로 환율이 안정되면서 일본은 외환 위기를 가까스로 비켜 가게 되었다.
계속되는 금융 기관들의 파산으로 일본 경제는 점점 나락으로 빠져들고 있었다. 전 수상이었던 미야자와가 대장상으로 1998년 취임해 다시 한 번 경기 부양책을 사용했다. 그 해 4월에 17조에 달하는 경기 부양책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적 부양에 그치고 주가와 부동산 가격은 계속 하락했다.
1998년 11월에 17조엔, 199년 11월에 11조엔, 그리고 2000년 10월에 11조엔의 경기 부양책이 시행되었으나 결국 일본 경제의 회생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결국 일본의 재정 적자는 GDP 대비 140% 수준까지 증가했다.
앞선 경기 부양책들이 실패한 이유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정책의 시행이었기 때문이다. 즉, 은행의 부실을 털어 내고 부실 채권을 정부가 매입해 금융을 정상화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임에도, “건설 – 은행 – 정치가와 관료”의 커넥션을 깨지 못해 부실을 청소할 수 없었다. 미야자와 대장상은 금융 부실 제거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관료들의 엄청난 반대로 결국 사임하게 되었다.
이후 고이즈미 총리가 대장성을 해체함으로써 그 커넥션을 단절시키고 금융 개혁을 실시할 수 있었다. 그 첫 시도로 2002년 10월 금융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대손 충당금의 기준을 강화하게 되었다. 느슨한 규제로 그 동안 시중 은행들은 부실 채권 규모를 은폐했는데, 기준 강화와 함께 공적 자금을 투입함으로써 부실 채권을 상각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2003년 4월에는 산업재생기구 설립을 통해 금융권의 부실 채권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또한 부실한 금융 기관은 우량한 금융 기관에 합병시키는 조치를 취했다.
이 같은 조치들을 통해 결국 일본은 장기 불황을 벗어날 수 있었다.
Current Status
일본은고령사회로접어든지오래다. 100세이상노인의수가 4만명에육박하며, 60세이상노인이전체국민의 21%에이르고있다. (2030년경에는 33%까지증가할것으로예측되고있다.) 일본경제의특성은국가자산의 4분의 3을 60세이상의노인들이소유하고있다는점이다.
승수효과는자본을얼마나효과적으로굴리는가를보여주는척도이다. 일본의자산은승수효과가상대적으로매우낮은것으로보인다. 좀더자세히말하면노인들이굴리는자산의승수효과가낮다고할수있다. 즉, 돈이경제전체적으로잘순환되지못하고한곳에몰려있다는의미이다.
문제는여기에서시작된다. 경제의원활한흐름에자금의흐름은필수적인데, 자본이동맥경화와같은상태에이른것이다. 국가의입장에서는승수효과가낮아稅收가낮아진다. 자금을집행할만한여력이부족하고, 그럼에도불구하고유권자의 30%를차지하는노인층으로부터지지를얻기위해복지예산은쉴새없이증가하고있다. 유권자중노인층의비율이높으므로더나은복지혜택을정책으로내세우지않으면당선이어려운실정이다.
결국재정적자를메우기위해발행하는국채를사들이는것도노인층이다. 악순환인것이다.
일본은 1인당저축량이단연세계최고인부국이다. 그러나일본정부의재정은그상태가매우불량하다. 일본정부는미국정부보다 GDP 대비 2.5배의빚이있다.
Ghost town, 노동시장 (니트족은 일할 의지 없다. 프리터족은 알바로 연명한다. 실업률은 2010년 5퍼센트를 넘었다. Working Poor는 2007년에 이미 천 만 명을 넘었고, 비정규직은 40%를 상회했다.)
Lessons Learned
우리나라는여러경로로노인층의자산이젊은층으로흘러들어간다. 그러나일본은버블붕괴의충격, 기러기아빠등의사회적문제[6]로인해노인층의자산이경제의다른부분으로좀처럼옮겨가지않는다. 주식투자와부동산투자는고려도하지않고오직현금보유만을생각한다. 즉, 노인층은자신들의자산을움켜쥐고있는셈이다.
투기로인해입은상처로좀처럼노인층의투자나소비가활성화되지않는것이다. 투기를예방한다는측면에서는바람직한현상이나, 경제의활성화, 경제의순환이잘이루어지지않는다는점에서는매우골치아픈문제이다.
앞으로의일본부동산전망이밝다고낙관할수없는이유중하나도고령화이다. 인구감소가본격화됨에따라주택수요감소는필연적을발생할것이다. (이와더불어농지축소로인한가용토지의증가, 공장의해외이전으로인한주택용토지의증가가일본부동산하락을전망하는주원인들이다.)
소득은 크게 근로 소득과 자본 소득으로 구성된다. 우리가투기라고부르는현상은자본소득의증가 – 실물자산의가치상승으로인해장부상의가치가증가하는것이지, 당장가용한자본이증가하는것이아니다 – 가동인이되어근로소득을넘어서는소비를하는현상을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다고 하자. 이 기분에 취해 실제로 돈을 과하게 쓴다면 이는 자산에 대해 투기적 심리가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해 근로 소득을 늘리려는 노력을 등한시 하게 되는 것이다.
일본의 문제 중 하나는 이 같은 투기였다. 근로 소득의 양과는 상관 없이 지가와 주식의 상승을 믿고 일본 국민들은 과한 소비를 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하와의 계’였다. 실제로 해외에서 일본 내로 들어오는 자본은 없는데 일본 국민들은 해외에서 엄청난 돈을 소비했다.
일본의실질경제는하락하고있었으나풀린돈으로인해시중경기는좋아지는현상이바로일본의버블이었다. 실질 경기의 회복 없이 시중에 자금이 넘쳐났고, 그 자금이 부동산으로 흐르게 된 것이었다. 이 시기에 필요했던 것은 고통을 국민이 감내하면서 구조 조정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일본은 Bubble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Bubble을 만끽하였다.
또한 Bubble이 터진 후에 투기를 자제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증권회사들은 ‘장기 투자 필승, 위기 즉 기회’라는 구호를, 부동산 회사들은 ‘일본 열도 황금성 이론’이라는 구호를 들고 투기를 부추겼다. 일본 국민들은 마지막 남은 돈까지 투기에 쏟아 부었다. 애도 시대부터 계속 되어 온 ‘부동산 불패’는 Bubble이 꺼진 후에서야 깨지게 되었다.
일본의 불황은 저금리와 경기부양책으로 대표되는 케인즈식 정책으로는 쉽게 불황을 탈출할 수 없음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불황 탈출을 위해서는 케인즈식 정책에 적절히 통화주의를 더하고, 특히 건전한 금융 시스템을 정착시킬 때 가능한 것이다.
References
- “The Next Global Stag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Our Borderless World”, Ohmae Kenichi (大前硏一), Wharton School Publishing, 2005
- 욕망과 혼돈의 기록 도쿄 1991, KBS 스페셜, February 4th, 2007
- “<목요특강> 경제평론가 박경철의 2009년 6월, 우리 경제 안녕하십니까?”, KBS 아침마당, June 25th, 2009
- KBS: 최진기의 생존 경제, 3회 버블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1]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과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Stagnation의 합성어이다.
[2] 투신사들이 은행에 자금을 예치하고 투신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계정이다.
[3] 미국, 영국, 서독, 일본, 프랑스의 선진 5개국, 즉 G5의 재무장관들은 뉴욕의 플라자 호텔에서 회담을 열었다.
[4] 중앙 은행에서 일반 은행에 대출해 주는 이자율이다.
[5]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엔氐 덕분에 수출이 증대되고 수입이 감소했다. 이 덕분에 패전과 가난을 이겨낼 수 있었다. 높은 저축률과 투자는 계속되었으나, 일반 국민의 희생이 따랐다. 국내 구매력은 감소했고, 노동력은 값싸게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수출 기업과 달리 국내 기업에 대한 규제는 강화되어 경쟁력이 떨어졌다. 내수와 수출의 균형이 무너졌다. 이로 인해 경쟁력 낮은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 대신, 주식과 부동산에 자금이 몰리게 되었다.
[6] 일본 경제가 호황인 80년대에 부모들은 자녀들을 해외로 유학 보냈고, 90년데 경제 불황의 여파로 이들은 국내로 복귀하게 되었다. 부모들은 남은 돈으로 이들의 사업과 주택을 지원했으나, 자녀들이 부모를 버리는 등 심각한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