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화자

[발췌] 발레리 줄레조 - 아파트 공화국 본문

사사로운 공간/읽다

[발췌] 발레리 줄레조 - 아파트 공화국

영원한 화자 2011. 7. 6. 17:05
*프랑스의 여류 지리학자 발레리 줄레조의 책. '인구는 많고, 땅은 좁기 때문에 아파트가 많다'는 결정론적 답변에 실증적 논거를 들어 반문을 제기한다. 요런 책을 내주는 후마니타스에 무한한 감사를. 저작권에 위배가 된다면 알려주세요. 비공개처리 하겠습니다.

아파트공화국프랑스지리학자가본한국의아파트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한국사회/문화
지은이 발레리 줄레조 (후마니타스, 2007년)
상세보기



----------------------------
* 재개발 조합 - 주민참여 + 민영회사, 정부 주도가 아닌 해당 지역의 주택 소유주, 재개발 구역 무허가 주택 거주민들은 그들이 불법 점거한 토지에 대하여 선매권을 갖게되어 시세보다 낮은 공시지가로 다시 사들일 수 있게됐다. 아파트 건축이 끝나면 가격이 대폭 상승한 새 아파트에 대한 소유권을 누리게 된다. 물론 옛 달동네 주민들이 아파트에 입주하는 경우는 드물다. 지역의 물질적 변모는 중산층의 유입과 함께 하층이 밀려나는 사회 계층적 변화를 수반하고, 애초의 주민들이 그 희생자가 되는 것이다.

* p.58 국토의 바른 개발과 변모를 경험한 사회가 갖고 있는 공통적 특징은 '새것에 대한 맹목적' 숭배로 나타난다. 1970년대 이후 '새로운 도시'의 창궐은 '신'이나 '뉴'라는 접두사를 무한대로 사용케했다. 

서구인 -  축적의 문화 : 직선적인 시간성에 뿌리를 두면서도 이미 지어진 가옥의 영속성에 더 집착한다. (역시 내가 겪은 바로도 토론토나 미국, 그리고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남미의 국가들은 대부분의 가옥과 건축물들이 매우 오래된 것이었다.

일본, 한국 : 유동의 문화 - 한국에서 주택의 끊임없는 변모는 서구가 보여주고 있는 도심의 박물관화와는 근본적으로 대립된다. 줄레조 said : 서울은 지리학에 저항하는 도시.

그렁떵성블(grand ensemble)과 cite -> French

*아파트 천지인 '아파트의 나라'에서 어떻게 모두가 아파트를 꿈꾸고 더 좋은 새 아파트를 열망하는 '아파트 공화국'이 되었다.

*2005년 기준 수도권의 인구는 2003만, 전체 인구의 48.3%

* p.91 1972년 공포 <주택 건설 촉진법> : 공동 주택, 고층 건물 건설에 특혜, 이 법을 통해 한국의 모든 도시에서 용적률 300%에 건물 높이의 제한이 없는 '아파트 지구'라는 개념이 만들어졌다. -> 강남의 대규모 도시개발 열풍 뒷받침

p.95 프랑스 vs 한국 '국민주택', '공공주택' 개념의 차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 하위계층을 주변지역으로 내몰고 도심을 상층 계층이 차지하는 것, 프랑스어의 embourgeosement를 의미

*1960년대 초반 ->재분배보다는 양적 성장에 과도하게 집착/개인의 행복이 아닌 '사회의 행복'

*암스덴 : '한국에서 대기업은 정부와 사기업 간의 이익의 조화가 이루어낸 산물'
 정부 : 장려-통제-억압 =>합의적 협력 관계

p.110
*1990년대 말 아파트 한 호당 설계비용은 2003년 기준 64,000원도 채 들지 않았다.
*줄레조-> 도시 부르주아 
한국의 중산층 분석(정확히는 서울의 중간계급). p.151 ~
"아파트 소유 여부" = 중산층 판단의 기준, 단적인 예 p.122의 인터뷰


p.124
*아파트 거주로인해 생활 양식이 표준화 되었지만 사회 공간적 차별화는 없어지지 않는다. 
France : 샹보레동과 르메르 - "공간적 근접성과 사회 계층적 거리" =>아파트 단지 안의 획일화된 생활 양식과 공간의 근접성은 계층간의 거리를 오히려 더 크게 한다고 주장

p.144 
*월세 임대인들은 한국의 주택정책으로부터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p.167
*인구밀도, 아파트 간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 1995년 서울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구에 아파트가 가장 많은 것도 아니었다. 서초구, 강남구, 노원구의 경우 이 지역의 60~80%는 아파트이지만 인구밀도는 오히려 도시 평균에 못미친다 -> 서울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연립주택 지구나 달동네이다. 지리학자 필레티에 "옹색한 설명으로 개발에 관한 숙명론을 퍼뜨리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

*한국의 전통적 토지 점유의 특징 : 평지와 산의 대조에 바탕 (평지-머무르는 곳, 산-신성한 곳)

p.207
결국 아파트 단지는 농촌 공동체로부터 도시로의 이주와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전통적 정체성의 기준들이 무너지는 가운데에도 이들 신흥중간계급에게 사회적 인정이라는 상징을 제공했다.

# 발레리 줄레조가 제기하는 문제
*한국의 아파트 단지는 중요한 하나의 도시 문제가 될 것이다. 1980년 중반 이후 대건설 계획으로 탄생한 모든 아파트 들에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것 => 도시 관리자들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도시 관리의 성공여부는 아파트 단지의 문제에 대응하는 방법에 달려있다.

*외양과는 달리 아파트 단지는 한국 사회가 현대사회로 돌입하면서 쏟아낸 가장 독창적인 산물이자 매개체이자 상징물이다.

*프랑스의 경험이 도움이 될 것 => '도시근린지역 문제' , 20년 넘게 시행되었던 프랑스 도시 정책, 주택 정책의 실패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